꺼짐을 채워 자연스러운 동안을 완성하다
안녕하세요.
해운대 중동역에 위치한 그레이스피부과 대표원장, 피부과전문의 김태훈입니다.
사람들은 흔히 피부 탄력의 저하만을 노화의 문제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피부 속 콜라겐 감소로 인한 ‘꺼짐(볼륨 소실)’이 얼굴 노화를 더 두드러지게 만듭니다.
오늘은 꺼진 부위를 자연스럽게 회복시켜 입체적인 동안 얼굴을 완성하는 필러(Filler)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나이 들어 보이게 만드는 진짜 주범, ‘꺼짐’
피부 노화는 피부 표면의 주름, 색소침착, 피부결 저하와 함께 콜라겐 감소와 지방의 재배치로 인한 피부 탄력 저하와 꺼짐이 발생합니다.
또 턱과 광대 뼈 구조 퇴행으로 인해 얼굴 윤곽이 흐려지고 볼륨의 기둥 역할을 하는 주춧돌이 소실되죠.
이렇게 발생한 안면 꺼짐 부위는 얼굴을 피곤하게 하고 실제 나이보다 더 들어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볼이 납작해지고 눈밑이 축 처지면서 꺼지면 활기찬 인상과는 거리가 먼 다소 우울해 보이는 인상으로 변하는데요.
따라서 동안 얼굴을 위해서는 단순히 리프팅만으로는 부족합니다.
필러는 말 그대로 피부 속 공간을 ‘채워주는’ 주사 시술입니다.
필러는 아시다시피 즉각적인 효과로 시술 직후 바로 볼륨이 차오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자연스러운 동안 얼굴을 만들기 위해 꺼진 부위를 보완해 입체적이고 어려 보이는 인상을 완성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특히 히알루론산은 시간이 지나면 체내에 흡수되므로 장기적 잔존물 부담이 적으며
이마 볼 뿐만 아니라 눈 밑이나 턱, 입술, 코 등 다양한 부위에 활용이 가능하죠.
하지만 아직까지 많은 분들이 필러에 대해 걱정하시는데요.
이유는 과거의 사례 때문입니다.
이물유가동 면역 반응으로 인해 얼굴의 면이 볼록하게 보이거나 심한 경우 종괴가 생기기도 했죠.
하지만 현재 사용하는 대부분의 필러는 히알루론산 필러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흡수되어 체외에 잔존하지 않습니다.
저는 필러를 단순히 채움만을 위한 도구로 보지 않습니다.
얼굴의 입체감과 조화를 완성하는 보조적 역할로 사용해야 자연스러움을 볼 수 있죠.
심부볼, 턱 등 지지 구조에 필러를 기둥처럼 세워 최소한의 볼륨으로도 전체적인 리프팅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또 즉각적인 과장된 변화가 아닌 ‘잘 관리했다’는 인상을 주는 것이 제가 추구하는 필러 시술인데요.
저는 오랜 임상으로 안정성을 인정받은 제품만을 ‘최소 용량’으로 사용해 환자의 안면 라인과 가장 자연스러운 디자인을 추구합니다.
이는 환자의 골격, 피부 두께, 근육 패턴을 고려해야 하며 한 분 한 분에 맞는 1:1 맞춤형 설계가 꼭 필요하죠.
마치 세필을 든 화가가 캔버스에 세밀한 라인을 그리듯, 필러는 작은 양으로 얼굴 전체의 인상을 변화시키는 방식입니다.
제발 당부하건데 많은 양을 한번에 주입하고자 하신다면 꼭 피부과전문의의 진단 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아마도 그만한 양이 필요가 없을것이 분명하기 때문입니다.
아무리 숙련된 의료진이라 할지라도 디자인 감각이 없으면 필러는 절대 자연스럽게 진행할 수 없습니다.
특히 숙련도 부족으로 인해 좌우 비대칭을 만들거나 심한 경우 울퉁불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죠.
피부과전문의는 보다 안전한 제품을 활용해 세심한 디자인을 바탕으로 정밀한 시술을 줄 수 있어야 합니다.
저는 국산이든, 외산이든 오랜 임상으로 안정성을 검증받은 제품만 활용하고 있습니다.
또 필요한 만큼의 최소 주입을 원칙으로 과잉 시술은 절대 하지 않습니다
개개인의 피부와 골격, 근육 패턴을 세밀하게 분석한 후 퍼스널 디자인으로 1:1 맞춤형 설계를 드리고 있죠.
동안 얼굴을 만드는 데 있어 리프팅 만큼 중요한 것은 바로 꺼짐(볼륨소실)을 채우고 복원하는 것이라는 점 이제 아시겠죠?
탄력있는 피부는 베이스고 생기있게 도톰한 볼륨은 선율입니다.
자연스럽고 입체적으로 건강하게 채우는 ‘필러’시술은 당연히 피부과전문의가 잘합니다.
꺼짐 때문에 나이가 더 들어 보이신다면,
그레이스피부과가 안전하고 자연스러운 필러 시술로, 당신만의 아름다움을 설계해 드리겠습니다.
- stat_1 이전글맞춤형 동안 관리의 시대 25.09.30
- stat_minus_1 다음글아침의 번거로움에서 해방되는 길 25.09.23